반응형 미국경제이슈2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수 (CPI) 데이터를 살펴보자 (feat. Core-CPI) 미국의 CPI 데이터를 자세히 살펴보자 안녕하세요. 이 글에서는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수 (CPI)와 근원 소비자 물가 지수(Core-CPI)가 최근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세계 경제에 관한 기사를 보다 보면 CPI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는데요. 이렇듯 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지표들의 뜻을 정리한 포스팅을 글 하단 링크에 첨부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 (CPI) 데이터를 살펴보자 1. 월가의 예측을 빗나간 CPI 대부분의 언론과 기사는 예상보다 높은 소비자물가지수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물론 증권사의 예측은 8.0~8.1%이므로 8.3%는 확실히 예상보다 높습니다. 증권사들의 예측이 투자자들의 기대보다 적.. 경제이야기/돈되는 주식연구소 2022. 9. 20. 바이든이 반도체 법 서명할 때 美기업들은 투자 줄인 이유 바이든이 반도체 법 서명할 때 美기업들은 투자 줄인 이유는? 8월 9일, '반도체산업진흥법'이 공표되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남쪽 잔디밭에서 반도체 산업 진흥법에 서명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법안을 "일생에 한 번뿐인 투자"이자 "미국 국민이 자랑스러워할 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30년 전, 전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30%를 차지하던 미국이 현재 10% 미만을 생산하게 되면서 '미국이 돌아왔다'는 의미를 담아 이 법안을 통과시키려 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 반도체 업체들이 충격을 받을 정도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수요 급증으로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품귀 현상을 겪고 있으며, 전문가들조차 미래를 예측하기 어.. 경제이야기/돈버는 기업이야기 2022. 9. 3.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